대학 미달사태 심각한 상태로 판단
여러가지로 어느정도 예견된 대학미달사태입니다.
젊은 인구층이 줄어들면서 대학 역시 미달되는 사태가 발생될 것으로 봤는데요.
그게 현실이 됬습니다.
특히 부산 울산 경남지역의 대학미달사태가 생겼다고 하는데요.
아무래도 인기가 덜 한 학교부터 이런 사태가 크게 확산되고 있다고 합니다.
즉 신입생이 없다고 합니다.
보통 인기가 많은 과들은 여전히 미달되는 사태가 없었으나
취업하기가 힘든 소위 기초학문과들은 미달되는 사태가 많았다고 합니다.
대학교도 대학나름대로 고민이 겠는데요.
부산에 위치한 전문대 담당자는 2020년도 전문대 정시모집을 끝냈으나
여러 학과에서 정원을 채우지 못하여서 추가모집을 받는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인구가 줄고 대학을 꼭 나와야한다는 인식이 줄어들고 있는 요즘이기에
그리고 다들 4년제 대학을 중시하는 문화가 되어서 전문대학은 미달사태가 나오는 것인데요.
경쟁률도 많이 내려갔습니다.
이어 다른 전문대 관련자 역시 정원미달이라고 합니다.
물론 4년제 대학 탈락을하고 대학에 넣을 수 있으니 추이를 지켜보자는 입장입니다.
부산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대구 울산의 대학 역시 미달사태가 났습니다.
거의 절반가량 경쟁률도 줄었다고 전하는데요.
특히나 빠르게 인구가 감소하는 부 울 경 지역의 대학에 이러한 일들이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
결국 올해는 대학들이 경쟁률을 발표하지 않는 사태까지 생기는데요.
시간이 지나면 그 지역의 인구도 줄게 될 것이고 대학들 역시 통폐합이 빈번하게 일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전문대 뿐아니라 그냥 대학교 역시 가만히 보고 있을 사항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당장에야 전문대학만 미달사태가 나겠지만 인구가 더욱줄고 학교갈 인원이 작아지면
대학교 역시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입니다.
결국은 주위의 상권도 무너지게 될 것이고 모든 부분에서 마이너스뿐인데요.
정부에서 방안을 마련할 듯 합니다.
이상 대학미달사태에 대해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