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다시 횡보세에 접어드는 추세
앞으로의 시세 전망에 대해
2021년 역시 비트코인이 핫한 장세입니다.
주식에도 돈이 가지만 비트코인 역시 만만치않게 이슈를 끄는 모습인데요.
폭등 이후에 최근 좀 하락을 하면서 추세가 무너지나 싶었지만
어김없이 다시 올라오면서 횡보장에 접어든 모습입니다.
비트코인 앞으로의 재료와 흐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이란?
비트코인은 2009년 1월에 만들어진 가상화폐입니다.
최초로 구현화된 디지털 자산이기도 해서 상징성이 있습니다.
따로 발행이나 유통은 P2P네트워크를 통해 거기에 참여한 자들끼리
주체적으로 화폐발행 및 내역을 공동으로 관리를 합니다.
즉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시킨 것입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대중적인 코인이며 이미 현실에서도 실물자산을 살 수 있을정도로
점점 현실화되고 제도권안으로 들어오려는 모습입니다.
코인베이스 나스닥 상장
상당히 의미있는 것으로 보여지는 코인베이스의 나스닥 상장입니다.
바로 지난달에 상장을 했죠?
코인베이스는 암호화폐 거래소로 상당한 규모를 가진 기업입니다.
이렇게 코인베이스가 상장을 했다는 것은 다르게보면 제도권으로
점점 들어오고있다는 증거입니다.
몸값만 100조원규모로 평가를 받고 있는 코인베이스인데요.
그동안은 메인으로 불리지 못하고 마이너했으나
이번건으로 어느정도 메이저화가 진행된다고 보여집니다.
비트코인 ETF
또 다른 하나의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비트코인의 ETF입니다.
캐나다에선 이미 승인이 난 상태입니다.
코인에 직접투자가 아닌 간접적으로 투자를 하는 방식인데요.
이 ETF역시 사용이 되면서 점점 제도권으로 들어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버스도 있으니 참고하면 되겠네요.
그렇지만 미 증권거래위원회는 아직 승인을 하지 않고 결정을 뒤로 미룬 모습입니다.
원랜 5월초 결정이였으나 6월로 미룬 모습인데요.
악재로 이룬 것은 아니고 규정변경제안에 대해 결정을 내릴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미룬모습입니다.
JP모건 비트코인 시장 펀드로 진출
거대 투자은행중 하나인 JP모건도 나섰습니다.
부자들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펀드투자안을 준비중이라고 합니다.
물론 아직 오피셜까지는 아니지만 모건스탠리는 비트코인 펀드의 편입을 허용할 방침으로
정했다고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테슬라 일론머스크와 비트코인
사실 비트코인의 시세를 올리는데 역할을 한 인물 중 하나가 일론머스크입니다.
테슬라를 비트코인으로 매매가 가능하다고 하기도 하고
트윗으로 호재소식을 많이 전했는데요.
그런데 알고보니 테슬라는 비트코인을 저가에 매수를 해
1000억이상의 수익을 올리며 풀 매도를 했다고 밝혀졌습니다.
1분기 실적보고서에 나왔는데 총 10%의 비트코인을 팔아서 수익을 챙겼다고
합니다.
여러가지로 논란이 되고 있는 중입니다.
파월, 찰리멍거 유명인사들의 부정적 의견
찰리멍거 버크셔해서웨이 부회장이 비트코인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냈습니다.
자신은 비트코인을 혐오한다고 하며 버핏 역시 간접적으로 동의를 했습니다.
큰 변동성과 규제 사각지대라는 점을 비판을 하며 금을 대체하는 인공적 대체품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파월은 늘 경고를 해왔는데요.
그의 말로 인해 비트코인의 시세는 출렁이기도 했습니다.
다시한번 그는 자본시장에 거품이 껴있다고 하며 그저 투기수단으로 본다고 합니다.
미국의 대통령 바이든 역시 그다지 호의적으로 보지 않으며
엄청난 세금을 메길것이라고 하며 하락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비트코인 시세 및 전망에 대해
현재 비트코인은 69,000,000만원대에서 왔다갔다 하는 모습입니다.
최근 강하게 급락이 나온이후로 다시 어느정도 돌려주는 비트코인입니다.
다시한번 이평선 위로 올라오면서 안정화되는 흐름인데요.
아무리 하락을 해도 5천중반대까지 빠지는 정도입니다.
현 시총은 1208.1조원수준이며 총 발행한도는 21,000,000개입니다.
작년 연말부터시작해서 정말 꾸준히 우상향해온 차트입니다.
중간 굴곡이 있긴 하지만 다시 회복을 하며 2천만원정도에서 최고 8천만원이상까지
갔다가 다시 7천만원에 근접한 모습입니다.
최근 거래량이 나쁘지 않은 상황이며 얼마전 큰 하락때
크게 거래량이 붙지 않았기에 차트상으로는 괜찮아 보입니다.
전망으로는 여전히 다양한 재료들이 아직 남아있는 모습입니다.
완전히 제도권안으로 들어가기 전까지는 계속해서 봐야하지 않나 생각이드네요.
위의 글은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오니
투자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책임은 일절 지지 않습니다.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클래식 시세 폭등 (0) | 2021.05.05 |
---|---|
도지코인 시세 급등 (0) | 2021.05.05 |
리플 시세 급등? (0) | 2021.05.01 |
리플 소송과 전망 (0) | 2021.04.25 |
비트코인 폭락 전망은? (0) | 2021.04.24 |